지난번 대만 환전 가장 싸게 하는 법에 대한 포스팅이 인기가 많았는데요!
이번에는 해외 결제 카드는 어떤 것이 가장 좋은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해외 결제는 총 4번의 수수료가 붙게 됩니다!!

충격적이죠!!
해외 결제를 할 때 어떤 식으로 수수료가 붙는지부터 설명드려야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
국내 가게들에서 물건을 구입하게되면 국내 카드사와 전부 망으로 연결되어 있고, 가게들은 카드사와 가맹계약을 맺게 되는 경우 가맹점이 됩니다. 하지만, 해외 가게의 경우 국내 카드사와 망을 공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망을 유지하고 있는 국제 브랜드카드사와 협약을 맺습니다.
# 해외 카드 브랜드 : VISA, Mastercard, American express, Union pay 등
# 국내 전용카드는 해외결제가 불가합니다.
무튼, 국제 브랜드 카드사에서 유지하고 있는 망을 빌리기 위해서 입니다. 빌려 사용하게 되면 국내 카드로도 결제가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빌렸으면 수수료를 내야겠죠? 이를 국제브랜드수수료라고 합니다.
제가 대만에 가서 한 가게를 들러 10,000 타이완달러를 사용했다고 해봅시다.
-이때 대만달러로 결제할지 한화로 결제할지 묻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무조건 대만달러로 결제하셔야 합니다. ( 해외원화결제서비스(DCC) 와 관련된 내용인데 뒤에 설명하겠습니다. )
국제 브랜드카드사(예를 들면 비자VISA)에서 타이완달러를 접수금액(USD)로 환전하면서 1차 수수료(환전)가 발생합니다.
다음으로는 2차로 국제 브랜드 카드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여기서 환전된 이용금(USD)을 대략 320USD라고 하고, 국제브랜드수수료가 대략 1% 정도니 3.2 USD가 되겠네요
접수금액(USD)=이용금(USD)+국제 브랜드 수수료(USD)
다음은 3차로 미국달러로 환전된 돈을 다시 원화로 환전하는 환전수수료가 발생합니다.
해외이용금액(원화)= 접수금액(USD) X 접수일 전신환매도율
이제 접수금액은 323.2USD이니 전신환매도율을 1300원이라고 하면 해외이용금액(원화)는 420,160원이되고
원화청구금액= 해외이용금액(원화)+해외서비스 수수료(원화)
다음으로 4차로 국내카드사 수수료가 붙습니다.
여기서 국내 카드사에서 청구하는 해외서비스 수수료 0.25%라고 하면, 320달러의 0.25%, 0.8달러로 1040원
(단, 해외서비스 수수료는 이용금(USD)에 비례한 금액이 책정)
즉, 결론적으로 원화 청구금액은 421,200원이 되어 총 5200원 정도의 수수료를 부과하게 됩니다.
정리하자면
총 4차례의 수수료가 붙었습니다.
1.국제브랜드(국제카드사) 이용 수수료 ( 약 1% )
2.국제브랜드(국제카드사) 환전 수수료
3.국내카드사 해외이용 수수료( 약 0.25% )
4.국내카드사 USD/KRW 환전 수수료(전신환매도율) ( 약 1% )
카드를 사용하면 보통 매매기준율에 비해 2.25~2.5% ( '전신환매도율(송금할 때)'이 1% 정도, 국제브랜드수수료 1% , 카드사 0.25~0.5% )
환전을 하게 되면 매매기준율에 비해 '사실때 가격'이 1.7% 정도인 것에 비하면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지 않은 것처럼 보입니다.

또한, 최근 이슈가 되었던 해외원화결제서비스(DCC)의 문제도 있습니다.
해외원화결제서비스(DCC)란 해외가맹점이 해외 DCC 전문업체와 별도 계약을 맺고 원화(자국통화)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금액을 원화로 쉽게 확인하는 장점은 있지만 실제 물품·서비스 가격과 별도로 결제금액에 약 3~8% 원화결제 수수료가 추가 부과되어 수수료 폭탄을 맞는 문제가 있습니다.
실제로 저도 타이베이공항에서 시내까지 택시를 탔는데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여주면서 어떤 걸로 할지 물어보더라구요.
꼭 타이완 달러(대만국기)로 결제 하시길 바라겠습니다. 한국 돈으로 얼마인지 궁금하겠지만 그 돈 확인은 나중에 카드 결제내역 보고 하시면 됩니다.
다시 카드 이야기로 돌아와서
그렇다면 해외에서 카드 결제 하는 것은 DCC실수할 위험과, 수수료 까지 해서 장점이 없어 보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이 해외이용수수료 면제 상품 또는 캐시백이 수수료를 넘기는 상품들이 중요하겠습니다.
카드고릴라에서 현시점(2024-01-30)에 개설 가능한 카드 상품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신용카드
대표적인 카드 4가지 정리한 내용 보여드립니다.
신용카드 중에서는 트래블월렛 우리카드는 국내이용실적 40만원을 채워야해서 여행 전에 국내에서 미리 사용을 좀 해야하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한도는 없이 캐시백이 되나 트래블로그에 비해 캐시백 비율이 낮았습니다.
트래블로그 신용카드의 경우 일반카드에 비해 3% 캐쉬백으로 160만원 정도 쓰면 5만원 이득이 되고 그 이상 사용시는 1% 혜택이 되는 카드였습니다.(단, 해외 결제 수수료 내야함)
전부 큰 차이 없이 비슷비슷하지만 본인이 얼마나 돈을 쓸지에 따라 계산해보시고 고르면 될 것 같습니다.
여행용으로 준비할 신용카드의 경우 사실상 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용도를 제외하면 해외 캐시백이 되는 원래 본인이 평소에 가지고 있는 좋은 카드를 이용하시거나, 아래 소개해드릴 체크카드를 사용하시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맥락에서 개인적으로는 트래블월렛으로 ATM으로 뽑는 방식으로 환전하실 분들의 경우에 한해서
1. 트래블월렛 ATM 출금 한도가 있으니 전부 다 ATM으로 뽑지 못하시는 분들이나
2. 갑자기 큰돈이 필요할 수 있어서 신용카드를 들고간다 하시는 분들에게는
'트래블월렛 우리카드'가 가장 적절한 카드가 아닐까 합니다.
ATM 인출해서 환전하는 방법은 제가 작성한 아래 글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https://sensv111.tistory.com/28
대만 환전 가장 싸게 하는 방법은? │ 트래블월렛, 트래블로그, 환율우대(이중환전)
대만은 환전할 때 달러로 환전해서 현지가서 타이완 달러로 환전 하는 게 관례처럼 알고 계실텐데요 번거롭고, 두번 환전하면 수수료 두배인데.. 너무 손해인 것 아닌가요? 맞습니다. 환전 가장
sensv111.tistory.com
추가로
일본 여행 가실분들께 zgm.일본여행중 카드 하나 추천해드립니다.
이번달에 미리 숙소, 비행기로 30만원 쓰고, 다음달에 일본 여행을 가서 100만원 정도 카드 사용 하실 분에게
10만원 이득이 되고, 연회비 2만5천원 빼고 7만5천원 이득 보시면서 공항 라운지 무료 이용하실 수 있는 카드가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해외결제 시 해외서비스수수료 면제
일본 오프라인 전매장 10% NH포인트 적립
-전월실적 30만원 이상 시, 연간 10만 포인트 한도
전세계 공항 라운지 무료 이용(The lounge/더 라운지)
zgm.일본여행중 카드 | 카드고릴라
해외 결제 해외서비스 수수료 면제, 일본 오프라인 전매장 10% 적립, 공항라운지 무료 이용
www.card-gorilla.com
2. 체크카드
자, 이제 체크카드 총정리 입니다.
먼저 트래블제로카드를 살펴봅시다.
한화가 있는 계좌가 연결된 카드를 결제하면 자동으로 우대 100%환전받아서 결제되는 카드 입니다.
그래서 환전 수수료 없고, 해외이용 수수료도 없는 카드 입니다. 보통 카드에서 아무리 해외이용수수료가 면제라고 해도 발생하는 환전 수수료 (전신환매도율 1%정도)보다 더 싸게 환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수료가 아에 없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대신 미리 원하는 시점에 환전을 해둬서 저점매수 이득을 보실 수 있다면 트래블로그, 트래블페이 카드를 사용하는것이 좋겠습니다. 예를 들면 엔화가 쌀때 미리 바꿔두는 경우는 트래블로그, 트래블페이를 이용하는 것이 편하겠습니다.
트리플 카드는 한화가 있는 계좌에서 연결된 카드로 결제를 하면 2.25% 카드 수수료와 환전 수수료를 내지만 3% 캐시백으로 총 0.75%의 캐시백 이득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아무래도 한화로 결제하기 때문에 잔액 걱정을 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고, 컨택리스 결제가 가능해서 카드 복제나 중복 결제될 걱정 없이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고, 국내, 미국, 호주, 홍콩 등해외에서도 교통카드로 사용 가능합니다.
사용하는 금액적으로는 같은시점에 환전하는 경우에는 4개 카드중에서는 환전 매매기준율을 환전 표준으로 볼 때 트리플 카드가 가장 유리(+0.75%), 트래블제로카드(0%), 트래블로그=트래블페이 (-1%) 라는 결론을 낼 수 있겠습니다.
결국 트래블로그, 트래블페이를 사용하던 기존 고객들의 경우에는 1.75% 정도 손해를 보완하려면 해당 국가의 화폐를 저점매수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정리>>
1. 해외에서 카드로 결제할때 해외원화결제서비스(DCC) 반드시 차단하고, 못했다면 해당 국가 화폐로 결제하자
2. 해외에서 카드 결제를 하게 되면 수수료 4번( 환전 2차례, 국제브랜드수수료, 해당 카드사 수수료)를 내서 매매기준율 대비 2.25~2.5%의 수수료를 내게 된다. [참고로 환전시 일반적으로 1.7%]
-그래서 카드를 하나 준비하는 것이 낫다!
3. 체크카드
- 미리 저점매수 환전해두겠다 (트래블로그, 트래블페이(월렛)) (-1%)
- 모르겠고 그냥 가져가서 결제하겠다 (트리플 카드 (+0.75%) , 트래블제로카드(+0%)
4. 신용카드
- 하나쯤 예비용으로 챙겨가기 (갑자기 사고싶거나 꼭 써야할 때가 있을 수 있음)
- 트래블월렛으로 ATM 환전 계획중이다 (트래블월렛 우리카드)
- ATM 환전도 트래블로그, 트래블페이(월렛) 미리 저점 매수 할거 아니면 트래블제로카드로 해외 ATM에서 뽑는 것이 좋아보임
- 평소 사용중이던 해외 결제되는 카드 예비용으로 챙기거나 하나은행 밀리언달러 카드나 토스신용카드 같은 가벼운 신용카드 만드는 것도 나쁘지 않음
도움이 되셨다면 왼쪽 아래 하트 버튼♥ 꾹 눌러주시고
우측 상단 구독버튼 부탁드립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아래 댓글 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좋은 글 많이 쓸 수 있게 원동력이 되어주세요"
'TRAVEL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행기 57만원 _ 7박 9일 바쁜 직장인의 동유럽 여행일정(부다페스트 In & Out) (27) | 2025.01.09 |
---|---|
도쿄 여행: 도쿄 여행 숙박은 다이몬 역 근처로 잡으세요! : 숨겨진 교통의 메카 (11) | 2024.04.07 |
대만 환전 가장 싸게 하는 방법은? │ 트래블월렛, 트래블로그, 환율우대(이중환전) (8) | 2024.01.16 |
교토 아라시야마는 장어덮밥 원툴인가요??│New 가성비 맛집 추천 : 오즈루(우동), 나카무라야(멘치카츠), 요지야 카페 (14) | 2024.01.13 |
교토 료칸 추천│우메코지 카덴쇼(京都 梅小路 花伝抄), 가족/연인과 함께 하기 좋은 온천, 가이세키 (22) | 2024.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