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성인의 폐렴구균 예방접종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폐렴, 뇌수막염, 패혈증 등을 일으킬 수 있는
폐렴구균(=폐렴사슬알균,Streptococcus pneumoniae,Pneumococcus)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입니다.
폐렴은 2021년 통계에 따르면
사망한 전체 사망자 수 중에서
1위 암(8만 2,688명), 2위 심장질환(3만 1,569명)에 이어 2만 2,812명으로 세 번째로 많은 병입니다.
대한감염학회 2023년 가이드라인에 추가로 2024년 개정안을 반영해서
성인의 폐렴구균 예방접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대한감염학회 2024년 가이드라인
대한감염학회는 2024년 가이드라인에서 성인의 폐렴구균 예방접종에 대해 다음과 같이 권고하고 있습니다:
대상자
- 만 65세 이상 성인: 이전에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모든 만 65세 이상 성인은 폐렴구균 백신 접종을 권장합니다 (대한감염학회, 2023).
- 만성 질환자: 만성 폐질환, 심질환, 당뇨병, 간질환, 신질환 등을 앓고 있는 성인에게도 폐렴구균 백신 접종을 권장합니다.
- 면역저하자: 면역저하 상태에 있는 성인(예: 암 치료 중인 환자, HIV 감염자)에게는 특히 폐렴구균 백신 접종이 필요합니다.
백신 종류 및 접종 방법
- PCV15 (15가 단백결합 백신)과 PPSV23 (23가 다당 백신)을 순차적으로 접종
- 2023년 10월 31일 15가 폐렴사슬알균 단백결합백신(15-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PCV15)이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아서 PCV13 ->PCV 15로 개정되었습니다!!
- 이전에 PPSV23을 접종한 성인은 최소 1년 후에 PCV15을 접종
폐렴구균 백신은 크게 단백결합백신(PCV)과 다당백신(PPSV)으로 나뉩니다.
PCV는 폐렴구균의 다당류에 단백질을 결합시켜 면역반응을 강화한 백신으로, 단백질 결합을 통해 T세포 의존성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장기적인 면역 기억과 높은 항체 친화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PPSV는 다당류 항원으로 T세포 비의존성 면역반응을 유도하며, 항체 지속 기간이 5년 정도로 짧습니다. 주로 65세 이상의 고령자와 만성 질환자에게 권장되는 이유가 이것이죠. 아마 평균나이가 70인 일반 나라의 기준에서는 저때 한번만 맞으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겠죠? 하지만 의료천국 대한민국에서는 평균수명 80까지 사는 경우에는 PPSV를 5년간격으로 계속 맞아야겠죠?
PCV13 대신 PCV15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으로 변경된 이유
폐렴구균은 90종 가량의 다양한 혈청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혈청형을 현재까지 사용중인 PPSV23의 23가지를 기준으로 백신혈청형과 이를 제외한 아래 보라색으로 표시된 비백신 혈청형으로 구분 짓게 됩니다.

1. 두가지 혈청형을 더 막을 수 있기 때문
아래 표를 보면 PCV15가 PCV 13보다 22F, 33F 라는 혈청형을 추가적으로 더 막아줄 수 있습니다.

2. 감염 빈도가 높은 혈청형 3을 더 잘 막아줌

위 그래프의 B파트를 보면 V114라고 표현된 PCV15가 PCV13,에 비해결과가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가이드 라인은 아래와 같이 변경 되었습니다.

PCV 15는 머크(Merck, MSD)라는 회사에서 개발했고 '박스뉴반스'라는 약으로 생후 6주 이상부터 만 17세까지의 영아, 어린이 및 청소년과 만 18세 이상의 성인 등 전 연령에서 접종 가능합니다.

결론
1. 병원에서 PCV15 주사인 '박스뉴반스'를 맞는다.
2. 1년 이후 국가사업으로 PPSV23을 무료로 접종한다.

https://nip.kdca.go.kr/irhp/infm/goVcntInfo.do?menuLv=1&menuCd=135
예방접종도우미
사업내용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PPSV23), 1회 접종 지원
nip.kdca.go.kr
저는 이 폐렴사슬알균 주사인 '박스뉴반스'와
대상포진예방주사인 '싱그릭스'는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아프고 병원비 쓰는 걱정 하지마시고
1차예방으로 병이 생기지 않는데 돈써서
함께 건강하게 사는 것이 효도입니다.
다시말해 이 주사는
'효도주사' 라고 생각합니다.
이 글도 꼭 보세요
https://sensv111.tistory.com/44
대상포진과 단순포진 이해 - 주요 차이점, 진단 및 관리
헤르페스, 입술 포진, 대상포진 등등 비슷한 듯 다른 포진들그리고 대상포진 백신에 대해서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인간헤르페스바이러스(Human HerpesVirus) 대상포진과 단순 포진은 모두 헤르페
sensv111.tistory.com
이후 내용은 전문적인 내용이 많이 들어있어 궁금하신 분들 위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Q&A 형식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 PPSV23가 가장 많은 범위를 커버하던데 이것만 맞으면 안되나요?
- PPSV23은 다당 백신으로 단백접합백신이 아니어서 면역 지속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 그래서 면역의 지속 시간이 짧습니다.
- 따라서 PPSV23 단독 접종보다는 PCV13와의 병용 접종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 이를 해결하고자 PCV15, PCV20이 나왔고 미국에서는 사용중이며, PCV21이라고 하는 새로운 약도 등장예정입니다.
- 미국은 어떤 가이드라인으로 맞고 있나요?
- 미국에서는 새로운 폐렴구균 백신인 PCV15와 PCV20이 2021년 도입되었습니다.
- 65세 이상 모든 성인 및 기저질환을 가진 19-64세 성인에게 [PCV20] 또는 [PCV15+PPSV23] 접종을 권장합니
- 기존 백신 접종력에 따라 접종 일정이 차이가 있습니다.

3. 독감 백신과 같이 맞아도 되나요?
-
- 인플루엔자 백신과 동시 접종도 가능합니다.(대한감염학회 2023년 폐렴사슬알균 예방접종 개정안)
- 다른 백신에 있어서는 현재는 근거가 없습니다.
4. PCV20은 PCV 13, PPSV23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나요?
- 국내에서는 아직 PCV20은 허가 되지 않았습니다.
- PCV13과 비교 : PCV13 혈청형에 대해서는 비열등성 기준을 만족, 전반적으로 PCV13보다는 낮은 면역원성을 보임
- PPSV23과 비교: PCV13에 비해 추가된 7가지 혈청형 중 6개(혈청형 8번 제외)에 대해서 PPSV23과 비교하여 우월한 면역원성을 보였습니다. 8번은 PPSV23이 더 우월.
- 부작용: 60-64세 성인과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평가되었으며, 접종부위 통증, 근육통, 피로, 두통과 관절통이 가장 흔한 이상반응이었고, 6개월 이내 심각한 이상반응의 빈도는 PCV20는 1.5%, 대조군은 1.8%로 차이가 없었습니다.

5. PCV21은 어떤 백신인가요?
- PCV21 (21-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PCV21) 은, 백신 도입 이후 발생 빈도가 많이 감소한 PCV7 혈청형은 제외하고, 백신 혈청형 중 아직까지 발생 빈도가 높은 혈청형 3, 19A 등과 비백신 혈청형인 15A, 15C, 16F, 23A, 23B, 24F, 31, 35B를 포함하는 21개 혈청형으로 구성
- 한마디로 겹치는거 자꾸 맞지말고, 새로운 커버 범위 약을 만들었다
- PPSV23이랑 면역원성을 비교하였을 때, PCV21은 PPSV23에 비해서 공통 혈청형 (shared serotypes)에서 비열등성을 만족하였으며, 일부 공통 혈청형에서는 우월하였다.
- PCV21이 PPSV23보다 이상반응의 빈도가 조금 더 높기는 하였으나, 백신과 관계있는 심각한 이상반응은 발생하지 않았다.
- 현재 2,600명 등록을 목표로 3상 임상시험이 진행 중입니다.

참고문헌
대한감염학회. (2023). 성인 폐렴구균 예방접종 가이드라인.
대한감염학회. (2024). 2024년 성인예방접종 개정안_PCV15
CDC. (2023). Pneumococcal Vaccination: What Everyone Should Know.
'일반인을 위한 근거 있는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병백세 시대를 위한 이상지질혈증 관리 / "The lower, the better" (94) | 2024.05.29 |
---|---|
무병백세를 위한 '갤럭시 워치로 뇌졸중 예방하기'/ 심방세동 조기 진단 (95) | 2024.05.26 |
뜨거운 여름, 열사병 예방과 대처법 완벽 가이드 (103) | 2024.05.20 |
고중성지방혈증: 원인, 진단, 치료 및 예방 방법 (78) | 2024.05.18 |
글루타치온으로 피부를 환하게! 올바른 복용법과 기미치료 효과 (49) | 2024.05.04 |